이슈 클리핑/해외 시장

2024 상반기 글로벌 뷰티 주요 이슈 (효능 편)

징씨 2024. 8. 7. 03:28

 

△ 잡티, 기미 해소에 대한 니즈 증가
△  기능성 강조한 따가운 화장품 인기
△  '빛나는' 메이크업 트렌드 지속

 

 

1. 잡티를 해결해줘

기미, 잡티, 여드름 흔적을 해결하고 싶은 소비자들의 니즈 / 주목할 것은 다크 스팟 케어에 대한 글로벌 소비자들의 니즈가 증가하면서 K뷰티 세럼의 인기도 함께 높아졌다는 점. 국내보다 글로벌 시장에서 먼저 출시된 아누아의 다크 스팟 세럼은 SNS에서 화제몰이를 하며 북미 아마존과 일본 쿠텐에서 인기가 급상승 / 한편, 북미 세포라에서는 닥터 자르트의 브라이트닝 세럼이 인기를 끌고 있음.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한국의 세럼 제품들은 인기 성분을 조합했거나 차별화된 제형을 제공한다는 공통점. ‘아누아’는 나이아신아마이드와 트라넥삼산을 함유해 빨간색 제형으로 차별화, 닥터 자르트의 브라이트닝 세럼은 동결 건조된 강력한 비타민 C와 나이아신아마이드 볼을 액상 세럼에 떨어뜨려 사용하는 이색적인 포뮬러.

 

 

 

2. 따가움은 참을 수 있어

지난해부터 일본에서 한국발 이타이 코스메 트렌드가 크게 유행. '이타이 코스메'는 '아픈 화장품'을 뜻하는 것으로 피부에 닿았을 때 따가움이 느껴지는 화장품. 저자극의 순한 화장품을 찾던 일본 소비자들이 따가운 사용감에도 불구하고 피부 개선을 위해 선택함.

 

이타이 코스메의 대유행을 몰고 온 VT코스메틱의 '리들샷'

일본 큐텐 스킨케어의 리뷰 키워드에서 ‘#이타이’의 언급량은 지난해 3분기 급등, 동시에 VT 리들샷의 순위도 전분기 11위에서 2위로 상승.
이런 흐름은 국내로 이어짐. 올리브영에서 올해 1분기 '#따가움' 리뷰 키워드의 언급량이 급증, VT리들샷의 순위가 58위에서 1위로 상승.
VT 리들샷은 레티놀과 같은 기능성 성분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부스터로 입소문 나면서 더욱 인기를 끌고 있음.

 

 

 

3. 빛나는 피부로 '쭉'

2024년에도 ‘빛나는 피부’를 연출하는 글로 메이크업 트렌드는 여전히 강세로 예상.
글로벌 여성들 사이에서는 몇 년간 한국의 글래스 스킨이 인기를 끌었고, 올해 상반기 틱톡에서는 펄스킨(#Pearl Skin) 트렌드가 부상.
펄스킨 트렌드는 글로이 메이크업 트렌드의 연장선으로, 은은한 펄과 하이라이터를 사용해 피부에 자연스럽고 빛나는 효과를 주는 것이 특징뷰티 미디어에서는 2024년 메이크업 트렌드로 펄스킨 트렌드를 주목하고 있음. 

한국에서는 속광 메이크업이 유행. ex. 장원영의 속광 블러셔 메이크업 급부상
빛나는 피부 표현에 대한 선호도는 한국, 미국에서 증가하고 있음을 라이징 리뷰 키워드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음. (이미지 참조)
제품 측면에서 올리브영의 촉촉한 글로우 쿠션의 인기 지속, 미국에서 은은한 펄이 함유된 글로우 인핸서의 인기 상승

 

 

 

4. 더 입체적으로

펄 스킨 트렌드, 속광 메이크업 트렌드에 빠질 수 없는 하이라이터와 블러셔의 인기도 상승세. 
미국, 일본을 포함해 국내의 블러셔와 하이라이터 리뷰 수 증가추세를  통해 확인 가능. (이미지 참조)

특히 리퀴드, 밤, 크림 타입의 제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은은하고 촉촉한 광택으로 업그레이드 됨.


한국의 대표적인 제품은 퓌의 립&치크 블러리 푸딩 팟, 힌스의 래디언스 밤. 퓌의 립앤치크는 아마존닷컴에서 판매 랭킹 8위까지 올라섰고, 일본 큐텐에서는 블러셔 판매 랭킹 2위를 차지할 정도로 인기를 끔.

 

 

 

글로벌 트렌드 리딩, 라이징한 K뷰티 제품의 공통적인 특징

 

1. 혁신적 제형 - 기존의 화장품과 차별화된 독특하고 눈에 띄는 제형
2.  SNS 바이럴 마케팅 - 트렌디한 이미지와 SNS 친화적인 마케팅 전략
3. 문제 해결 중심의 기능성과 인기성분 - 글로벌 소비자의 피부고민을 해결하는데 중점, 인기 성분의 조합을 강조

 

 

 

 

 

* 출처 : 2024 상반기 글로벌 뷰티시장 주요 이슈 : Trend (retailtal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