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클리핑/해외 시장 5

2024 상반기 글로벌 뷰티 주요 이슈 (효능 편)

△ 잡티, 기미 해소에 대한 니즈 증가 △  기능성 강조한 따가운 화장품 인기 △  '빛나는' 메이크업 트렌드 지속  1. 잡티를 해결해줘기미, 잡티, 여드름 흔적을 해결하고 싶은 소비자들의 니즈 / 주목할 것은 다크 스팟 케어에 대한 글로벌 소비자들의 니즈가 증가하면서 K뷰티 세럼의 인기도 함께 높아졌다는 점. 국내보다 글로벌 시장에서 먼저 출시된 아누아의 다크 스팟 세럼은 SNS에서 화제몰이를 하며 북미 아마존과 일본 쿠텐에서 인기가 급상승 / 한편, 북미 세포라에서는 닥터 자르트의 브라이트닝 세럼이 인기를 끌고 있음.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한국의 세럼 제품들은 인기 성분을 조합했거나 차별화된 제형을 제공한다는 공통점. ‘아누아’는 나이아신아마이드와 트라넥삼산을 함유해 빨간색 제형으로 차별화,..

미국, 영국 화장품 시장 트렌드

최신 화장품 시장 트렌드 미국  #지속가능성최근 미국 화장품 시장은 사회 전반에 걸쳐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을 그대로 반영유해성분 함유 여부만 고려하던 이전과 달리 패키지나 제형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제품을 선호 이에 리필 제품, 클린뷰티, 크루얼티 프리(cruelty free)에 이어 플라스틱으로부터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는 블루 뷰티(blue beauty) 등의 트렌드에 힘입어 생분해성 제품, 플라스틱 프리 제품 성장률 두드러짐 다만 가성비를 중요하게 여기는 소비자들이 존재함으로 합리적인 가격대와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동물 실험 없는 제품 개발, 대용량 제품 판매,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 무료 수거 서비스 제공 등의 브랜드에 높은 관심  영국 #세포라 키즈 코로나19 이후..

상반기 일본 화장품 트렌드

일본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은 2022년 처음으로 프랑스 제치고 수입 1위 국 등극 K-뷰티 브랜드를 더욱 공고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본 화장품 트렌드에 걸맞은 우리만의 제품으로 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음 화장품 대표 플랫폼인 @cosme가 발표한 2024년 상반기 화장품 트렌드를 선도하는 제품을 소개한다  무더위 대비 ... 쿨링 쿠션, 메이크업 픽서, 쿨링 마스크팩 인기 23년 일본 기록적인 무더위 발생, 플랫폼 내에서 ‘폭포수처럼 흐르는 땀’, ‘얼굴 땀’ 등의 키워드가 빈발 유분 방지 제품, 사용 시 청량감이 있는 제품, 냄새나 땀을 케어하는 데오드란트 계열 등 여름 한정 제품이라는 이미지가 있던 제품이 장기간 판매될 가능성도 커 보임LOFT를 통해 소개되는 무더위 대비 K-뷰티 제품으로는 ..

2024 틱톡 뷰티 트렌드

#2000smakeup 이어진 Y2K트렌드와 이효리의 ’10 Minutes’ 메이크업! 10 Minutes 도입부와 함께 이효리 메이크업으로 변신건강하게 살짝 그을린 피부 톤, 그윽한 눈매를 강조하는 세미 스모키 아이라인과 실버 펄 섀도, 탱글하게 연출한 누디 립까지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는 메이크업  #Strawberry makeup 최근 틱톡 사용자 @taontm이 립스틱을 입술과 볼, 눈꺼풀, 이마, 코까지 색조로 활용한 영상이 바이럴되며 많은 이들이 연관 검색어로 '딸기 메이크업'을 찾은 것 / 지난 4월에 트렌드가 시작된 초기에 비해 구글 검색량 248% 증가  #Nontoxic fragrances 피부나 환경에 유해할 수 있는 합성 성분을 배제한 '무독성 향수'가 트렌드로 떠오름 / 벨라 하디드..

아시아 뷰티 소비 트렌드 ‘가성비’보다 ‘품질’ 중시

아시아 뷰티 시장의 트렌드 키워드로 벨류 해커, 인구 변화, 더마코스메틱을 제시  벨류 해커(Value Hacker) 프리미엄 짠테크로 표현. 지출은 최소화하면서도 품질을 희생하지 않고, 동시에 혜택과 가치를 꼼꼼히 챙기는 진화된 짠테크의 형태 최근 뷰티 소비자들은 입증된 효능을 중시ex. 중국 화장품 기업 ‘프로야’, 스킨케어 브랜드 '곡우' 사례 저가 소비 트렌드 확산미국에선 ‘Dupe 소비’, 고가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저가 제품 소비 트렌드가 확산, 전 세계적으로 유행할 것으로 전망 / 화장품 시장에 소비 양극화 현상이 일어나면서 중간 가격대 제품은 경쟁력이 약해 역풍을 맞음ex. 일본 카오 그룹의 브랜드 정리 및 통폐합 실시 - 저가 브랜드 ‘케이트’ 주력 인구 변화(Population C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