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뷰티 시장의 트렌드 키워드로 벨류 해커, 인구 변화, 더마코스메틱을 제시
벨류 해커(Value Hacker)
프리미엄 짠테크로 표현. 지출은 최소화하면서도 품질을 희생하지 않고, 동시에 혜택과 가치를 꼼꼼히 챙기는 진화된 짠테크의 형태
최근 뷰티 소비자들은 입증된 효능을 중시
ex. 중국 화장품 기업 ‘프로야’, 스킨케어 브랜드 '곡우' 사례
저가 소비 트렌드 확산
미국에선 ‘Dupe 소비’, 고가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저가 제품 소비 트렌드가 확산, 전 세계적으로 유행할 것으로 전망 / 화장품 시장에 소비 양극화 현상이 일어나면서 중간 가격대 제품은 경쟁력이 약해 역풍을 맞음
ex. 일본 카오 그룹의 브랜드 정리 및 통폐합 실시 - 저가 브랜드 ‘케이트’ 주력
인구 변화(Population Change)
10대 인구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인도와 해당 연령대가 줄어들고 있는 한국
인도에선 10대들만을 위한 브랜드가 인기 / 귀여운 파우치 안에 색조를 넣어 판매하거나 예민한 10대 피부를 위해 알콜프리 제품을 제조
한국은 2031년까지 0~14세 인구가 22%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측돼 유아동 브랜드가 줄어들고 있음
ex. 이니스프리의 유아동 라인 사업 중단, 펫라인 론칭
국내의 경우 14세 미만 인구가 줄어드는 것이 오히려 니치 브랜드의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강조
아이를 하나만 키우게 되면서 최고를 고집하는 부모들이 많아졌기 때문 (프리미엄 유아동 제품 선호)
남성 소비자의 뷰티 시장 진입
뷰티 시장에 새롭게 진입하는 남성 소비자가 많아지면서 남성 뷰티 시장은 다양한 분야로 발전할 전망
얼굴뿐만이 아니라 전체적인 외모를 가꾸는 경향 ex. 인터파크 니플패치 시장 전년비 10배 성장
더마코스메틱
더마코스메틱 개념이 점점 모호해지고 있어 정의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음. 많은 브랜드가 더마코스메틱으로 시작했지만 안티에이징으로 초점을 옮기거나 더마로 시작하지 않았지만 더마 콘셉트를 마케팅에 이용하는 브랜드가 늘어남
업계 관계자 대상 '더마코스메틱에 대한 정의' 조사 결과 - 민감성 피부 대상, 치료 효과, 의료 백그라운드가 공통적인 필수 요건으로 나타남.
최근 제약사들의 더마코스메틱 런칭, 클린뷰티 브랜드들이 민감성 피부 타깃으로 성분과 피부 건강을 내세운 제품 출시로 더마 브랜드는 위협을 느낄 수 있는 실정. 소비자들은 더마와 그 경계에 있는 브랜드를 굳이 구분해 사용하지 않기에 카테고리 확대와 민감성 피부를 위한 기능성 제품 개발이 더마코스메틱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 조언.
'이슈 클리핑 > 해외 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상반기 글로벌 뷰티 주요 이슈 (효능 편) (1) | 2024.08.07 |
---|---|
미국, 영국 화장품 시장 트렌드 (0) | 2024.08.07 |
상반기 일본 화장품 트렌드 (0) | 2024.08.07 |
2024 틱톡 뷰티 트렌드 (4) | 2024.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