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클리핑/국내 시장

8월 둘째주 주요 이슈

징씨 2024. 8. 17. 02:58

 

화장품도 패션...뷰티 강화하는 의류업계

 

고물가 기조 여파로 국내 의류 시장 침체가 계속되는 가운데 화장품 사업이 패션회사의 핵심 축으로 떠오름. 세계적으로 K뷰티가 인기를 끌자 트렌드에 민감한 패션 회사들은 인수 합병 등을 통해 화장품 사업에 뛰어들며 화장품 분야에 공을 들이는 분위기.

 

Case1. LF

2019년 10월 론칭한 LF의 화장품 브랜드인 '아떼' 1년 전 대비 매출 60% 증가해 지난해 연간 매출을 넘어섬. 2020년 자외선 차단 제품으로는 국내 처음 비건 인증을 받으면서 국내에서 탄탄히 인지도를 쌓음. 자외선 차단 제품 라인업 확징 및 기초 라인 계획으로, 의류보다 화장품 브랜드에 힘을 실을 전망.

 

Case2. 신세계인터내셔날

고가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화장품 사업을 유지하다, 이달 초 해외에서 인기를 끄는 중저가의 인디 브랜드 '어뮤즈'를 인수하며 화장품 사업 전략에 변화를 꾀함. 자체 브랜드를 키우는 것이 목표인 만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수한 것으로 판단. 지난해 기준 매출액 368억원이었던 어뮤즈를 2028년까지 2000억원의 대형 브랜드로 키운다는 계획.

 


 

 

무신사 화장품' 화려한 단장…뷰티업계 긴장

 

국내 1위 패션 플랫폼인 무신사가 뷰티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에이블리, 지그재그, 컬리 등 버티컬 플랫폼은 물론 쿠팡, SSG닷컴, 롯데온 등 대형 e커머스 플랫폼들도 신성장동력으로 뷰티 사업 강화에 나서면서 뷰티 플랫폼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무신사 뷰티는 에스파의 카리나를 앰배서더로 선정. 3주간 무신사 앱에서 ‘무신사 뷰티 페스타’ 진행, 다음달 초 서울 성수동에서 대규모 뷰티 팝업스토어 진행 예정.

 

현재 입점 브랜드는 1700여 개로, 최근 국내 뷰티 시장이 중소 인디 브랜드로 재편되며 무신사 뷰티의 성장 속도도 빨라졌다. 올해 상반기 기준 무신사 뷰티 구매 고객 전년 동기 대비 약 80% 증가.

 

뷰티는 신선식품과 비교해 객단가와 마진율이 높고, 물류·유통 등도 까다롭지 않아 매력적인 카테고리. CJ올리브영도 온라인 사업을 강화하고 있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

 


 

 

화장품 사업 늘린 제약·바이오, 해외로 발판 넓힌다

 

의약기술이란 전문영역을 바탕으로 화장품으로 사업을 다각화해온 기업들이 해외시장을 공략하면서 외연이 확장.

 

HK이노엔

아마존에서 1년에 1번 유료 회원인 프라임 멤버를 대상으로 진행한 아마존 프라임데이에서 슬로에이징 스킨케어 '비원츠' 제품이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리프팅크림 △아이세럼스틱 △아이세럼패치) 이번 아마존 프라임데이에서는 작년 대비 매출이 약 1846% 증가하는 성과를 보이며, 글로벌 시장 진출에 청신호. 올해 7월에는 일본 아마존에 입점해 일본 시장 공략도 본격화

 

전 세계적인 K뷰티 열풍과 연계해 현지 시장에 걸맞은 마케팅을 한 것이 주효했다는 설명.

1. 아이세럼스틱, 리프팅크림에 애플리케이터(괄사롤러, 마사지 볼)를 결합한 홈뷰티 제품 [차별화 포인트]

2. 아이세럼스틱, 아이세럼패치 등 아이케어를 중심으로 니치마켓을 공략

3. 현지 커뮤니티 및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셀프케어 브랜드 콘셉트

 

지놈앤컴퍼니 (신약 개발 기업)

화장품 브랜드 유이크로 해외 진출을 확대. 일본 도쿄 긴자에 있는 미츠코시 백화점에서 '유이크 유니버스' 브랜드 팝업과 전속모델인 아이돌 그룹 라이즈의 팬사인회가 열린다. (브랜드 인지도 상승, 오프라인 판매) 올 초에는 일본 큐텐, 라쿠텐에 입점해 판매를 시작. 동남아로도 시장을 확장. 이달 초 인도네시아 오픈마켓 소시올라에 바이옴 베리어, 레미디 라인 15개 제품이 입점함.

 

CMG제약 (차바이오텍 계열사)

베트남 헬스케어 유통전문기업 안틴팟과 손잡고 1억4000만 달러 규모의 베트남 헬스&뷰티 시장 공략. 홈앤몰쇼핑, 안틴팟과 함께 화장품 브랜드 '닥터바르고'를 론칭. 제품 라인업은 히알루론산을 주 원료로 하는 미백기능성 스킨케어 '마이스킨 31°C' 5종(토너·에멀전·수분크림·선크림·폼클렌징)과 피부 미백·주름개선 2중 기능성 스킨케어 라인업 '마이픽스킨' 1종(기미 미백크림) 등 총 6종.

 


 

 

패션본고장 프랑스·이태리, 신상품 들고 한국 찾는다

 

패션의 본고장인 프랑스·이탈리아 등지의 유명 브랜드들이 단독 신상품을 들고 한국 시장 문을 두드리는 사례가 늘고 있다. 최근 K패션이 전 세계에서 주목받고 국내 소비자들의 트렌드 민감도가 높아지면서 유럽에서도 한국 시장을 일종의 '테스트베드'로 주목하는 모습.

 

젊은 세대에게서 신명품으로 떠오른 프랑스 브랜드 '아미'는 올해 가을겨울 시즌 국내에서 단독으로 라운드넥 카디건을 선보일 예정. 앞서 아미는 지난해 봄여름 시즌 큰 사이즈의 로고가 들어간 티셔츠를 국내에서 독점 상품으로 선보여 인기를 끌었다.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영국 브랜드 '바버'도 국내에서 다양한 독점 제품을 선보이며 종합 브랜드로 변신 중. 기존 남성 전문 클래식 브랜드의 이미지가 강했던 바버는 지난해부터 국내에 여성을 타깃으로 한 논왁스 재킷과 남성 레인부츠 등을 차례로 선보임. 국내 시장에서의 제품 다각화에 힘입어 바버 브랜드 전체의 올해 1~7월 매출 전년 대비 약 2배 성장.

 

한국에서 인기를 검증받은 신제품을 브랜드 본사에서 글로벌 전역에 정식 출시하는 '역진출' 사례도 늘고 있다. 

1. 프랑스 컨템퍼러리 브랜드 '르메르' : 소프트 게임백 블랙 글로벌 대상 정식 출시 예정

2. 이탈리아 뷰티 브랜드 '산타마리아노벨라' : 국내에서 처음 50㎖ 소용량 향수를 선보인 후 전 세계로 판매처 확대

- 수백 년간 고수해오던 100㎖ 향수 용기 사이즈와 디자인을 변경, 한국 시장 한정 제품이었으나, 국내는 물론 아시아 지역에서 큰 인기를 얻으며 현재는 글로벌 시장으로 50㎖ 제품을 확장해 판매 (전체 향수 매출 중 55% 차지)

 


 

 

무너·두꺼비·흰디…존재감 커진 '기업 캐릭터'

 

요즘 국내에선 콘텐츠 제작업체가 아닌 일반 기업이 캐릭터 지식재산(IP)에 뛰어드는 사례가 늘고 있다. 비콘텐츠 기업이 만든 캐릭터가 매출을 일으키는 핵심 축으로 떠오르며, 브랜드 마케팅 수단에 불과했던 기업 캐릭터의 존재감이 달라짐.

 

LG유플러스가 만든 캐릭터 ‘무너’

2021년부터 올해까지 벌어들인 금액이 40억원 추정. 무너 캐릭터 IP를 활용한 굿즈(상품) 판매, 스포츠·엔터테인먼트·유통·식음료 기업과의 제휴 등이 매출로 이어짐. 무너 IP를 사용하는 기업은 40여 곳에 이른다. 디자인 문구, 소품 등 무너 관련 굿즈는 2021년 100여 종에서 올해 200여 종으로 확대.

 

하이트진로의 대표 캐릭터 ‘두꺼비’, 현대백화점은 ‘흰디’, 신한은행은 ‘쏠 프렌즈’를 앞세워 IP 사업에 투자. 기업 대부분 카카오처럼 ‘제2의 라이언, 춘식이’를 배출해 IP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목표. 이들은 캐릭터 어디에도 기업명을 드러내지 않는다. 기업 색깔이나 성향을 빼고 캐릭터 사업을 해보겠다는 전략.

 


 

 

잘나가는 K뷰티 中企 … 특급호텔 '러브콜'

K뷰티 브랜드 '탈리다쿰'과 협업 전시가 이뤄지고 있는 포시즌스 호텔 로비

 

 

에르메스, 불가리, 몰튼브라운 같은 해외 고급 화장품 브랜드를 어메니티로 제공해오던 '콧대 높은' 특급 호텔이 한국 인디 뷰티 브랜드에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고급 객실 숙박객에게 K뷰티 제품을 제공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이 국내 인디 브랜드에 주목하는 것은 글로벌 시장에서 K뷰티 영향력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K뷰티 유행은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이 이끌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된다. 최근에는 인디 브랜드가 과거의 가성비를 넘어 원료와 제품 패키지를 고급화한 고가 라인 제품을 잇달아 선보이면서 럭셔리를 표방하는 특급 호텔 요구를 충족할 수 있을 정도로 제품 라인업이 확대.

 

1. 탈리다쿰 : 포시즌스호텔
숙박 패키지, 스파 이용객에게 화장품 증정 / 호텔 내 베이커리, 플라워숍과 협업
2. 톰 프로그램 : 롯데호텔 서울
프리미엄 객실인 웰니스 객실 이용객에게 풀패키지 제품 제공 / 톰 프로그램는 다른 특급호텔의 러브콜이 이어지고 있어 조만간 더 많은 호텔에서 제품을 선보일 예정
3. 타가 : 인천 네스트호텔, 코트야드 메리어트 영등포
투숙객에게 여행용 키트 증정
4. 달바 : 워커힐호텔
풀캉스 패키지 이용객에게 바캉스 세트 제공